신용카드 대신 체크카드로 1년 써본 후기

작년부터 신용카드를 거의 해지하고 체크카드 위주로 생활비를 관리했어요. 처음엔 연말정산 소득공제 때문에 시작했는데, 막상 1년을 써보니 생각보다 지출 관리에 확실한 변화가 생겼어요.


통장이 보이는 서울 도심 고층 오피스에서 정장 차림의 여성이 다양한 종류의 체크카드와 신용카드를 들고 웃고 있어요. 책상 위에는 노트북에 카드 사용액 증가를 보여주는 그래프와 달력이 보이고, 유리병에 동전과 지폐가 담겨 재테크 성공을 상징합니다.


체크카드로 바꾼 이유


소득공제율이 두 배 차이 나는 게 결정적이었어요. 신용카드는 15%, 체크카드는 30%로 같은 금액을 써도 공제받는 액수가 달라요. 총급여의 25%를 초과한 금액부터 공제가 적용되는데, 이 부분을 체크카드로 채우면 연말정산 환급액이 늘어나요. 2025년까지 이 제도가 연장된 상태라 당분간은 이 혜택을 계속 받을 수 있어요.


예를 들어 연봉 4천만원이면 1천만원까지는 어떤 카드를 쓰든 공제가 안 돼요. 그 이후부터 공제가 시작되는데, 1천만원을 초과해서 1천만원을 더 썼다고 가정하면 신용카드로만 쓸 경우 150만원 공제, 체크카드로만 쓸 경우 300만원 공제예요. 실제 환급액으로 따지면 몇십만원 차이가 나요.



실제로 달라진 점

계좌 잔액 내에서만 쓸 수 있다는 제약이 생각보다 강력했어요. 신용카드 쓸 땐 한도만 있으면 결제가 되니까 무의식중에 씀씀이가 커졌는데, 체크카드는 통장에 돈이 없으면 결제 자체가 안 돼요. 이게 과소비를 막는 장치로 작용했어요.


생활비 통장을 따로 만들어서 매월 고정 금액만 넣고 그 계좌에 체크카드를 연결했어요. 월급통장과 분리하니까 예산 관리가 훨씬 명확해졌어요. 통장 잔액이 줄어드는 게 실시간으로 보이니까 소비에 대한 경각심이 생겼어요.


2024년 기준으로 체크카드 사용이 전년 대비 5% 증가했다는 통계가 나왔어요. 경기 불황으로 욜로족에서 요노족으로 소비 패턴이 바뀐 영향이에요. 요노는 You Only Need One의 약자로, 꼭 필요한 것만 소비한다는 뜻이에요. 실제로 주변에서도 체크카드로 갈아타는 사람들이 많아졌어요.


불편했던 부분


할부가 안 된다는 게 가장 큰 제약이었어요. 큰 금액을 한 번에 결제해야 하니까 가전제품이나 가구 같은 걸 살 때 부담스러웠어요. 이럴 때만 남겨둔 신용카드 한 장을 썼어요.


해외 결제할 때도 가끔 막히는 경우가 있었어요. 결제망 점검 시간이나 시스템 오류로 일시적으로 결제가 안 되는 경우가 있어서, 해외여행 갈 때는 신용카드를 같이 챙겨야 했어요.


급하게 큰 돈을 써야 할 때 계좌에 잔액이 부족하면 당황스러워요. 신용카드였으면 한도 내에서 일단 쓰고 나중에 해결할 텐데, 체크카드는 그게 안 되니까요. 비상금 통장을 별도로 만들어두는 게 필요했어요.


신용점수는 어떻게 됐나


체크카드만 쓰면 신용점수가 떨어질 거라는 걱정이 있었어요. 실제로 체크카드는 신용 거래가 아니라서 신용점수 향상에는 제한적이에요. 하지만 월 30만원 이상, 6개월 이상 꾸준히 사용하면 최대 40점까지 신용점수를 올릴 수 있어요.


저는 공과금이랑 통신비 같은 고정비만 신용카드로 자동결제 해두고, 나머지는 전부 체크카드로 썼어요. 소액이라도 신용카드를 꾸준히 쓰면서 연체 없이 납부하는 게 신용점수 관리에 중요하거든요. 1년 동안 이렇게 관리했더니 신용점수는 오히려 소폭 올랐어요.


적절한 활용 방법


총급여의 25%까지는 신용카드로 채우고, 그 이후부터 체크카드를 쓰는 게 가장 효율적이에요. 25%까지는 어차피 공제가 안 되니까 혜택 많은 신용카드를 쓰는 게 유리해요.


매월 월급의 4분의 1 정도를 신용카드로 쓰고 나머지는 체크카드로 관리했어요. 국세청이 소득공제 계산할 때 결제 순서와 관계없이 신용카드 사용액부터 우선 차감하거든요. 그래서 굳이 순서를 신경 쓸 필요는 없었어요.


카드사 혜택은 신용카드가 훨씬 좋아요. 포인트 적립, 할인, 캐시백 같은 게 체크카드보다 많아요. 그래서 공제 대상이 아닌 항목은 신용카드로 결제했어요. 세금, 공과금, 통신비, 보험료 같은 건 소득공제가 안 되니까 혜택 좋은 신용카드를 활용하는 게 맞아요.


1년 써본 결론


체크카드 위주로 바꾸고 나서 월평균 지출이 20만원 정도 줄었어요. 실시간으로 잔액이 줄어드는 게 보이니까 소비 전에 한 번 더 생각하게 됐어요. 연말정산 환급액도 전년 대비 30만원 더 받았어요.


다만 완전히 체크카드만 쓰는 건 비효율적이에요. 신용카드를 적절히 섞어 쓰는 게 혜택 면에서나 신용 관리 면에서나 더 나아요. 저는 고정비는 신용카드, 변동비는 체크카드로 분리해서 관리하는 방식이 가장 잘 맞았어요.


막상 해보니 생각보다 단순했어요. 수치로 보면 더 명확해요. 소득공제율 차이를 활용하고, 통장을 쪼개서 예산을 정하고, 지출 내역을 주기적으로 체크하는 것만으로도 충분히 효과가 있었어요.


경기가 좋지 않은 요즘, 체크카드는 과소비를 막는 확실한 방법 중 하나예요. 조건이 맞는다면 시도해볼 만해요.


매일 커피값 아껴 산 주식 한 주의 결과